옐로우캣

주식(株式, stock)이란

 

 

주식이란


주식회사의 자본을 이루는 단위 및 그것을 나타내는 증서. 주식회사는 이것을 발행해서 자본을 투자받은 회사이다.

개인이나 단체가 특정 회사에 일정 금액을 투자해주고 그 대가로 정해진 기간마다 투자금에 걸맞은 이득, 예를 들면 투자금에 비례하는 이익을 배당받거나 회사 경영권을 행사할 수 있게 하는 제도다. 즉 A회사에 100만 원을 투자했다면 A회사에 100만 원에 해당하는 경영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 회사 규모에 따라 그 100만 원이 0.1%일 수도 있고, 1%일 수도 있다. 다른 말로 하면 자신이 가진 주식의 비율대로 A회사를 소유한다. 다만 회사의 몫을 가져가는 사람들은 주주들만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가져가는 몫도 고려해야 옳다. 채권자들은 물론 노동자들도 자신의 몫을 받는다. 여러 이유로 노동자들이 받는 대가도 많다.

 


주식의 총 발행량은 정관의 필수적 기재사항이다. 다만 정관에 기재 되어있는 주식을 모두 발행할 필요는 없다. 허나 상법에 의하면 기재되어있는 주식 총 발행량의 25%이상은 의무적으로 발행해야 한다. 나머지 주식은 주주총회를 통해 의결로 이를 판매, 분배등을 결정할 수 있다.

주식을 가진 사람을 주주(株主)라고 한다. 말 그대로 주식의 주인. 주주는 소유한 주식의 양에 비례하여 주주총회를 통해 회사의 경영권에도 참여할 수 있다. 하지만 회사의 과실에 대해서는 자신이 투자한 금액 이상의 책임을 지지 않는다. 때문에 회사가 망한다고 하더라도 자신이 투자한 지분이 휴지가 될 뿐 그 이상의 피해를 입지는 않으며 이를 유한책임(Limited Liability)이라고 하고 주식회사는 대표적인 유한책임회사이다. 이익을 지분만큼만 챙길 수 있지만, 책임도 투자액 만큼만 하기 때문에 이것은 투자자 유치에 큰 장점이 된다. 이익에 대한 기대보다, 위험에 대한 우려가 투자를 막기 때문이다. 위험을 제한하는 제도가 생기면서 투자가 활발해지고 경제가 발전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증권시장에 상장된 주식은 주로 증권사를 통해서 매매되며, 증권사는 매매 수수료를 받는다. 물론 비상장업체의 주식은 일반적으로 증권사를 통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매매된다. 수수료는 업체마다 조금씩 다르다.



주식을 왜 만들까?


기업 입장에서 주식은 바로 자본금으로, 기업은 (1주당 액면가) * (발행한 총 주식수) 만큼의 자본금을 보유한다. 자산(Assets) 액수는 자본(Equity)과 부채(Liabilities) 액수의 합과 같다. 위 명제를 회계등식이라고 하는데, 단어의 의미를 해석해보면 부채(Liabilities)는 다른 사람에게 빌린 돈, 즉 타인자본을 말하며 자본(Equity)이 바로 자기자본, 회사의 주인이 회사에 넣은 돈을 말한다. 회계등식은 이 두 가지를 합한 돈이 바로 회사의 자산(Assets)과 같다는 것이다. 즉 회사의 자금은 주인의 돈과 빌린 돈의 합이다. 주식은 주식회사에서 자본금을 이루는 단위를 말한다.

 

어떤 회사든 다른 돈 없이 회사의 수익만으로 사업을 벌이고 싶겠지만, 제대로 된 회사를 경영하는 데에는 어마어마하게 많은 돈이 필요하기 때문에 극소수의 예외를 제외하면 수익금 같은 내부자금만으로 회사를 굴리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그래서 기업은 금융기관을 통해 외부로부터 돈을 조달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대표적으로는 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방법채권을 발행해 돈을 빌리는 방법주식을 발행해 자기자본을 늘리는 3가지 방법이 있다.

 


은행에서 돈을 차입하는 건 간단하고 타인의 돈을 빌려쓰는 개념인 것과 달리 주식을 발행해서 기업에 들어온 돈은 기업의 주인으로서 들어온 것이기 때문에 돈을 갚을 필요가 없으며, 회사의 리스크를 지분 만큼 분담할 수 있다는 크나큰 장점이 있다. 하지만 그 반대급부로 원래 회사의 주인은 새로 늘어난 자본금만큼 자신의 경영권을 포기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말 그대로 주인들이 늘어나는 것이므로.



주식을 왜 살까?


주주 입장에서 주식은 회사 주인 증명서다. 주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회사가 발행한 총주식 중 소유한 주식의 지분만큼 회사를 소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회사의 주인으로서 주주는 기업 이익에 대한 청구권으로 대표되는 자익권과, 경영에 참여하는 의결권으로 대표되는 공익권을 가진다. 하지만, 그만큼의 권리만큼 회사의 손해에 따른 리스크도 감당할 책임이 주어져서, 회사가 파산하는 경우 자기가 출자한 만큼의 자본금 (= 주식)은 허공 속으로 사라지는 것이다.

 


주주는 일차적으로 이익청구권을 행사해 회사의 이익을 돌려받는 배당을 얻을 수 있으며, 여기에 더해, 주주는 자유롭게 주식을 다른 사람한테 팔면서 매수가격과 매도가격 간의 차액으로 돈을 벌 수가 있다. 이를 통해 개인에게는 남는 돈을 저축하거나 소비하는 것 외에도 투자를 통해 돈을 불릴 수 있는 선택지가 주어지며, 기업이나 금융기관에서는 회사의 자산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선택지가 되는 것이다


기업과 주가의 관계



그런데, 사실 주식이 발행되고 나면 회사의 자본금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다시 생각해보면 결국 주가가 오르든 내리든 기업과는 직접적인 상관이 없다는 걸 알 수 있다.게다가, 과거의 주식은 안정적으로 성장하거나 안정적으로 돈을 버는 기업일수록 배당이 잘되므로 주식을 가지고 싶은 사람이 많아진다는 논리로 주가가 올라갔다지만, 현대의 주식은 배당의 중요성이 크게 떨어졌으며, 아마존닷컴 같은 거대기업은 아예 배당을 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회사의 성공과 도대체 주가랑 무슨 상관일까?

주가 상승이 회사에게 주는 이득은, 첫번째로 회사의 시가총액이 오르면서 회사의 가격이 올라가고, 곧 시가총액이 높을수록 M&A에 크게 유리해진다는 것이다. 두번째로 한 주당 가격이 올라갈수록 주식을 추가발행하는 증자를 하기에 유리해진다. 회사가 자본금을 늘리려는 경우 주식을 추가로 발행해 자본금을 늘릴 수 있는데, 이때 주가가 높을 수록 적은 수의 주식을 발행해도 많은 자본금을 얻을 수 있다. 이외에도 주가가 높고 시가총액이 크다는 것 자체만으로 이미지가 상승하는 효과가 있어서 마케팅 효과가 있기도 하고 은행으로부터 대출을 받는데도 유리해진다.

 


다만 시가총액=회사의 가치라고 생각하는덴 문제가 있는데, 주가 자체도 수요와 공급에 영향받는 시장가격일 뿐이기 때문이다. 외환시장에 사람들이 저금해놨던 원화가 많이 풀린다고 해서 국가의 부가 늘어나는게 아니라 환율이 높아지는 것처럼 주가도 어떠한 이유로 사람들이 내다 팔기 시작하면 순식간에 떨어진다. 회사의 가치로 시가총액이 고정된 수치라면 그런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지만 기관이나 외국인이 주식을 던지기 시작하면 시가총액이 쭉쭉 떨어진다. 이론적으로 모든 사람이 주식을 내다팔고 싶어해서 100%의 주식이 시장으로 나오게 되면 회사가 멀쩡히 살아있어도 주식 가격은 0원, 시가총액도 0원이 된다. 따라서 시가총액만으로 회사의 규모나 가치를 산정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출처 : 나무위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